보안에서 DMZ란 우리나라에 있는 비무장지대와 같습니다.
말그대로 무장을 하지 않는 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왜 무장을 하지 않는가?
그 이유는
주로 DMZ는 방화벽과 연관해서 사용이 되어지는데
기본적으로 방화벽은 네트웍을 보호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입니다.
즉 방화벽은 불법적인 침입에 대하여 필터링을 하는 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죠?
그러면 DMZ 를 왜 구성하는가?
그 이유는 바로 서비스에 있습니다.
여러분의 회사나 학교의 네트웍에는 외부로 노출되어야 할 서버나 PC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서버나 홈페이지 서버, 기타 로긴 서버나 인터넷에서 자신의 네트웍의 서버자원
을 사용해야 하는 서버들이 있겠지요.
그러면 이 서버들을 방화벽 아래에 두게 되면 어쩔수 없이 사용하는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그렇겠죠? 웹서비스는 HTTP를 열어주어야 하고 FTP서비스는 FTP 포트를 열어주어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방화벽에 DMZ를 구성하지 않고 서버와 클라이언트PC들을 하나의 네트웍으로 구성하면
보안에 HOLE 이 생길 소지가 있다라는 것입니다.
즉 웹서비스의 열려진 HTTP 포트를 통해서 해킹이 가능해지면 이를 통해 내부클라이언트 PC까지도
손쉽게 해킹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DMZ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지요.
열어줘야 할 것들은 DMZ를 구성해서 따로 네트웍을 할당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DMZ에서 로컬 네트웍으로의 침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즉
인터넷 -> DMZ : OPEN (필요한 서비스만)
DMZ -> 로컬네트웍 : CLOSE (DMZ 서버를 통해서 로컬네트웍으로의 불법적인 침입 방지)
로컬네트웍 -> DMZ : OPEN (필요한 서비스만)
인터넷 -> 로컬네트웍 : CLOSE (로컬네트웍 보호)
이런 식의 정책적용이 기본적인 방화벽의 DMZ 관련 정책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DMZ를 구성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방화벽에 NIC를 3장 달아서
하나는 인터넷, 다른 하나는 DMZ, 나머지 하나는 로컬네트웍으로 연결을 시켜주는 것이죠.
마지막으로 다시 정리해보면
DMZ는 외부에서 엑세스 가능한 서버들의 네트웍을 할당해 놓은 곳이며
DMZ를 구성함으로써 로컬네트웍의 보안을 가져갈 수 있다.
출처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dir_id=103&eid=7WHbdc6MUV8V87alnfDCu/R70cHDEAVl&qb=ZG16&pid=fsdp9woQsD4sstH+7Yhsss--092104&sid=SAQj-W4bBEgAAFZ9Dns
말그대로 무장을 하지 않는 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왜 무장을 하지 않는가?
그 이유는
주로 DMZ는 방화벽과 연관해서 사용이 되어지는데
기본적으로 방화벽은 네트웍을 보호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입니다.
즉 방화벽은 불법적인 침입에 대하여 필터링을 하는 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죠?
그러면 DMZ 를 왜 구성하는가?
그 이유는 바로 서비스에 있습니다.
여러분의 회사나 학교의 네트웍에는 외부로 노출되어야 할 서버나 PC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서버나 홈페이지 서버, 기타 로긴 서버나 인터넷에서 자신의 네트웍의 서버자원
을 사용해야 하는 서버들이 있겠지요.
그러면 이 서버들을 방화벽 아래에 두게 되면 어쩔수 없이 사용하는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그렇겠죠? 웹서비스는 HTTP를 열어주어야 하고 FTP서비스는 FTP 포트를 열어주어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방화벽에 DMZ를 구성하지 않고 서버와 클라이언트PC들을 하나의 네트웍으로 구성하면
보안에 HOLE 이 생길 소지가 있다라는 것입니다.
즉 웹서비스의 열려진 HTTP 포트를 통해서 해킹이 가능해지면 이를 통해 내부클라이언트 PC까지도
손쉽게 해킹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DMZ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지요.
열어줘야 할 것들은 DMZ를 구성해서 따로 네트웍을 할당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DMZ에서 로컬 네트웍으로의 침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즉
인터넷 -> DMZ : OPEN (필요한 서비스만)
DMZ -> 로컬네트웍 : CLOSE (DMZ 서버를 통해서 로컬네트웍으로의 불법적인 침입 방지)
로컬네트웍 -> DMZ : OPEN (필요한 서비스만)
인터넷 -> 로컬네트웍 : CLOSE (로컬네트웍 보호)
이런 식의 정책적용이 기본적인 방화벽의 DMZ 관련 정책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DMZ를 구성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방화벽에 NIC를 3장 달아서
하나는 인터넷, 다른 하나는 DMZ, 나머지 하나는 로컬네트웍으로 연결을 시켜주는 것이죠.
마지막으로 다시 정리해보면
DMZ는 외부에서 엑세스 가능한 서버들의 네트웍을 할당해 놓은 곳이며
DMZ를 구성함으로써 로컬네트웍의 보안을 가져갈 수 있다.
출처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dir_id=103&eid=7WHbdc6MUV8V87alnfDCu/R70cHDEAVl&qb=ZG16&pid=fsdp9woQsD4sstH+7Yhsss--092104&sid=SAQj-W4bBEgAAFZ9Dns
'etc > o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 관련 기초 공부 (1) | 2008.04.16 |
---|---|
OOP ?일까나.... (0) | 2008.04.16 |
addChildren의 특성 테스트 (0) | 2008.04.16 |
흥분한다면.... ? (0) | 2008.04.16 |
NAT (0) | 2008.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