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로운 사용자 등록 (GRANT 이용)

(1) MySQL에서 모든 권한을 갖는 관리자용 사용자(root)를 추가할 때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 to root@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 \ WITH GRANT OPTION;

(2) 일반 사용자(user)에게 자신의 DB(mydb)의 모든 테이블에 모든 권한을 부여할 때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mydb.* to user@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

2. MySQL의 root 사용자 암호 바꾸기 (mysqladmin 이용)


(1) root 패스워드 변경하기.

mysql> mysqladmin -u root password new-passwd


(2) 잊어버린 root 암호 다시 설정하기

a. MySQL 모든 프로세서 죽이기 # killall mysqld

b. grant-table을 사용하지 않고 MySQL 데몬을 시작 # ./asfe_mysql --skip-grant-tables &

c. 사용자 테이블이 있는 mysql DB로 접속하여 root 패스워드 다시 설정 # mysql -u root mysql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newpassword') where user='root';

d. 새로운 암호를 적용하기 위해 flush privileges를 실행 mysql> flush privileges;

e. 다시 모든 MySQL 데몬을 죽인다 # killall mysqld

f. grant-table을 사용하기 위해서 정상적인 방법으로 데몬을 시작 # ./safe_mysqld &


3. 데이타베이스&테이블 생성 및 삭제


(1) 데이타베이스 생성 및 삭제하기

mysql> <create | drop> database <DB_name>


(2) 테이블 생성 및 삭제하기

mysql> <create | drop> table <table_name> (......); # mysql -u user_name -p db_name < create_table.sql


4. 데이타 검색


(1) 기본형식

mysql> selcet <column1[, column2, ...]> from <table_name> [<where_definition>];


(2) 정렬해서 검색하기

mysql>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_name> [where <where_definition>] -> order by <column[, column2, ...]> [asc | desc];


(3) 특정 문자열이 포함된 칼럼 검색하기

mysql>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_name> where like 'string';


5. 데이터 백업 및 복구

(1) 백업 # mysqldump -u <user_name> -p <DB_name> > <BackUp File Name>

(2) 복구 # mysql -u -u <user_name> -p <DB_name> < <BackUp File Name>


  일단 본론부터 말씀 드리면 잘못된 명령어를 사용하셨습니다.

mysqldump 라는 mysql 유틸리티는 데이타를 sql 텍스트형식으로 dump 받을때 사용하는 유틸리티 입니다.
dump 된 데이타를 복원하실떄는 mysql 클라이언트 유틸리티를 사용합니다.
* 데이타 백업 방법
DB name : smile
DB user : smile
DB passwd : test
이라고 가정을 했을경우

유닉스 환경 모드 (mysql 설치 디렉토리가 /usr/local/mysql) 이라는 가정하에
]#/usr/local/mysql/bin/mysqldump -u smile -p test smile > smile.sql

윈도우 환경 모드 (mysql 설치 디렉토리가 c:\mysql)
c:\mysql\bin\mysqldump -u smile -p test smile > smile.sql

* 데이타 복원 방법
DB name : smile
DB user : smile
DB passwd : test
이라는 가정을 했을 경우
-------------------------------------------------------------------------------------------------
 SQL 파일 실행문
-------------------------------------------------------------------------------------------------
유닉스 환경 모드 (mysql 설치 디렉토리가 /usr/local/mysql) 이라는 가정하에
]#/usr/local/mysql/bin/mysql -u smile -p test smile < smile.sql


윈도우 환경 모드 (mysql 설치 디렉토리가 c:\mysql)
c:\mysql\bin\mysql -u smile -p test smile < smile.sql

C:\Documents and Settings\정덕채>cd C:\APM_Setup\Server\MySQL\bin

C:\APM_Setup\Server\MySQL\bin>mysql -u mode -p mode < mode_backup_080804.sql

-------------------------------------------------------------------------------------------------
※ Mysql에서는 이와 다른 데이타 복원 방법은 몇가지 더 있습니다.
상황1)유닉스환경 -> 유닉스환경으로 복원
/usr/local/mysql/var/{DB명} 파일을 동일한 폴더에 복사하신뒤에 mysql 데몬을 새로
----------- 구동 하시면 됩니다.
DBMS 저장장소
(주의) 원본mysql 복원mysql이 동일 버전일경우에만 권해드립니다. 100% 장담못함

상황2)
기타 다른 구분자(Tab)에 의해서 필드가 나눠 있을경우
mysql 클라이언트에 접속한뒤에
load data infile '{파일절대경로}{파일명}' into table {테이블명};
기타 다른 구분자 에 의해서 필드가 나눠 있을 경우
load data infile '{파일절대경로}{파일명}' into table {테이블명} fields terminated by '{기타구분자}';

예를 들어서 /home/test/test.txt 파일에 필드구분자가 (,)로 구분되어 있고
Test 테이블에 입력하기를 원할경우에는 mysql 접속모드에서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mysql>load data infile '/home/test/test.txt' into table Test fields terminated by ',';
출처 : 직접작성


------------------------------------------------------------------------------------------------------------
 
mysql 관리자 root 패스워드 설정

mysql>update user set password = password(‘password’) where user = ‘root’ ;


버전출력과 현재 날짜출력

mysql>select version(),current_date;


데이터베이스 목록확인

mysql>show databases ;


데이터베이스 생성

myslq>create database databasesname;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등록 및 확인

mysql>insert into db values(‘%’,’databasesname’,’root’,’y’,’y’,’y’,’y’,’y’,

’y’,’y’,’y’,’y’,’y’);

mysql>select host, db, user from db;


데이터베이스 소유자 등록

myslq>insert into user(host,user,password)values(‘localhost’,’사용자’,

password(‘패스워드’);


테이블 생성

myslq>create table 데이블명(필드명 데이터타입 );


mysql 데이터 타입

int : 4bytes 정수 (integer)

char(n) : 문자의수가 n개인 문자열과 문자

varchar : 문자의수가 최대 n개인 문자열

text : 문자의수가 최대 65535 개인 문자열

date : 날짜데이터형

time : 시간데이터형

enum : 선택형


테이블 구조 확인

mysql>desc 테이블명


테이블필드 추가

mysql>alter table 데이블명 add [column] 필드명 필드타입


테이블 필드 속성 변경

mysql>alter table 데이블명 change [column] 기존필드명 새필드명 필드타입


테이블 필드 삭제

mysql>alter table 데이블명 drop [column] 필드명


테이블 삭제

mysql>drop table tablename;


데이터 검색하기

mysql>select 필드명(*) form 테이블명


데이터 입력하기

mysql>insert into 테이블명(필드명,필드명) values(‘입력데이터’,’입력데이터’);


데이터 수정하기

mysql>update 테이블명 set 필드명=필드값 검색조건[where]


데이터 삭제하기

mysql>delete form 테이블명 검색조건[where]

버전확인 cat /etc/issue


신규계정추가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 to ID@localhost


패스워드 변경

mysql>UPDATE user SET Password=OLD_PASSWORD('패스워드') WHERE user='root';


 

mysql>SELECT * FROM `TABLE_NAME` WHERE 1 order by `id` DESC limit 1


데이터비우기

mysql>TRUNCATE `log`;


 

원격접근

~]#mysql -h IP -u root -p


 update user set host='%' where user='root';


php 원격접근실패 유형


특정 테이블 확인

mysql> show tables where Tables_in_DBNAME like 'tablename'


특정 테이블 conut function

mysql >CREATE ALGORITHM=UNDEFINED DEFINER=`root`@`%` SQL SECURITY DEFINER VIEW `COMMON_DATA`.`cnt_para` AS select now() AS `now()`,sum(`tables`.`TABLE_ROWS`) AS `ROW` from `information_schema`.`tables` where (`tables`.`TABLE_NAME` like 'tbl_par%');


중복제거한 갯수

SELECT count(distinct id) FROM `tablename`


테이블복구

* MYISAM 복구

/usr/local/mysql/bin/myisamchk --tmpdir=/home --recover tbl_articles.MYI


마지막에 입력한 id select

  mysql_query(conn, "SELECT LAST_INSERT_ID()");
  result = mysql_store_result(conn);
  while((row=mysql_fetch_row(result))!=NULL){
     printf("%d\n", atoi(row[0]));
  }

[출처] mysql 명령어 |작성자 혀니수아

'etc > o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FMS3 (FLASH MEDIA SERVER) 설치하기  (0) 2008.09.30
시바토라 - ED SONG  (0) 2008.09.11
For In  (0) 2008.08.12
onfocus 등의 호출시점 => 매우 중요함.  (0) 2008.07.05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주소값(get방식) 분석하기  (0) 2008.06.16
<?xml version="1.0" encoding="utf-8"?>
<mx:Application xmlns:mx="http://www.adobe.com/2006/mxml" layout="absolute" creationComplete="initApp();">
 <mx:Script>
  <![CDATA[
   import mx.utils.ObjectUtil;
   private var obj:Array = new Array();
   
   private function initApp():void{
    //Create the Object
    obj.push("1 won sa ma");
    obj.push("2 won sa ma");
    obj.push("3 won sa ma");        
   }
   
   public function dumpObj():void{
    trace("called");
    for(var p:String in obj){
     ta1.text+=p+":"+obj[p]+"\n";
    }
   }
   
  ]]>
 </mx:Script>
 <mx:TextArea id="ta1" width="400" height="200" text="zz"/>
 <mx:Button label="Dump Object" click="dumpObj();" x="299" y="208"/>
 
</mx:Application>

onFocus는 바로 호출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 하기 바랍니다.

<html>
<head>
<title></title>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bbb=0;
 function init(){
  eval(document.getElementById("aaa")).focus();
  alert(bbb);
 }
 function onfo(){
  bbb++;
 }
   
    document.onkeydown = keyHandler;
    function keyHandler()
    {
        var keyCode = event.keyCode ;
        switch (keyCode)
        {       
          case 65:
            alert(bbb);
          break;
        }
    }
</script>

</head>

<body onload="init();">
<a href="" id="aaa" onfocus="javascript:onfo();">aaa</a>
</body>
</html>

위 코드 실행시 결과값은 0이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음...

'etc > o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 Sql 기본적인 명령어  (0) 2008.09.08
For In  (0) 2008.08.12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주소값(get방식) 분석하기  (0) 2008.06.16
파싱이후 숫자 유효성 검증하는거 예시  (0) 2008.06.11
XUL 시작하기  (0) 2008.06.10
function getRequest(param){
    if(location.search){ //if address has parameters,
        var baseRequest = location.search.substr(1);  //remove ?      
        var arrVars = baseRequest.split("&");
        for(i=0;i<arrVars.length;i++){
            var tmpVar = baseRequest.split("&")[i].split("=");
            if(param==tmpVar[0]) return tmpVar[1];
        }
    }
    return null;
}

http://test.html?a=2&b=3

alert(getRequest("a"));

result : 3

잘 써먹기 바랍니다.

'etc > o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 In  (0) 2008.08.12
onfocus 등의 호출시점 => 매우 중요함.  (0) 2008.07.05
파싱이후 숫자 유효성 검증하는거 예시  (0) 2008.06.11
XUL 시작하기  (0) 2008.06.10
iPod  (0) 2008.06.09

var aaa:String = "112:3121:412:43";

function checkDiv(inp:String):Boolean{
 var arr:Array = inp.split(":");
 
 if(arr.length!=4) return false;
 
 for (var s:String in arr){
  if(isNaN(arr[s])) return false;
 }
 return true;
}

trace( checkDiv(aaa) );


음... 나름대로 쓸만함 ㄷㄷ;;; 구린가 ㅎㅎ

!=4 는 인자값은 4개만 받겠다는 이야기임. => 변경하셔서 쓰면되구...
split 구분자도 자신에 입맞에 맞게끔 수정한다면 OK

1. XulBooster : http://www.xulbooster.org 로 가서 다운받은 다음 이클립스에 넣어주면 된다.
  • This version needs Eclipse 3.3 and WTP2.0 or more.

  • 2.

    TTS자료 넣는 곳
    /private/var/root/Media/TTR/

    권한주기
    /private/var/Applications/
    ex) chmod 755 /private/var/Applications/iBlackjack.app

    테마변경
    /private/var/root/Library/SummerBoard/Themes/

    'etc > o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싱이후 숫자 유효성 검증하는거 예시  (0) 2008.06.11
    XUL 시작하기  (0) 2008.06.10
    JDOM을 이용하여 XML 읽기 / 생성하기 예제  (1) 2008.06.03
    Java performance tips  (0) 2008.06.03
    東京 狐の嫁入  (0) 2008.06.03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확인해 본 이후 Javadoc을 읽어주고 수정하여 자신만의 것으로 만들어서 좀더  좋은 형태로 발전시켜 사용하기 바랍니다. 후훗, 저도 이제 소스 성능 업좀 하러 ㄱㄱ

    'etc > o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XUL 시작하기  (0) 2008.06.10
    iPod  (0) 2008.06.09
    Java performance tips  (0) 2008.06.03
    東京 狐の嫁入  (0) 2008.06.03
    2008년 4월 신작 자막 제작자 정리표  (0) 2008.06.03


    Java Press (http://www.gihyo.co.jp/magazines/javapress) 라는 일본의  
    Java전문 서적(2003년 2월판)에서 발췌한 Java performance tips입니다.  

    그중 Java 일반적사항에 관련하여 7개, String 관련2개, Collection관련 8개,  
    IO관련2개등 총 4개 분야 19여개의 Tips에 대해 제가 나름대로 번역해본 자료입니다.  

    출처 : javaservice.net 김선필(piper2)님의 글입니다.



    ====================================================================================

    Java performance tips

    Java Press (http://www.gihyo.co.jp/magazines/javapress) 라는 일본의 Java전문 서적(2003년 2월판)에서 발췌한 Java performance tips입니다.

    그중 Java 일반적사항에 관련하여 7개, String 관련2개, Collection관련 8개, IO관련2개,
    등 총 4개 분야 19여개의 Tips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일반적사항 관련 Tips

        ① 쓸데없이 Cast를 남발하면 바람직하지 않음.
        
         Loop구조에서 쓸데없이 cast를 남발하면 performance를 현저히 저하시킵니다.

          예) 쓸데없이 cast를 남발한 바람직하지 않은 코드예

          for(int i=0; i<list.size(); i++)
          {
            if ( ((String)list.get(i)).indexOf('a') ! =-1)  {
            } else if(((String)list.get(i)).indexOf('b') ! =-1)  {
            } else if(((String)list.get(i)).indexOf('c') ! =-1)  {
            } else if(((String)list.get(i)).indexOf('d') ! =-1)  {
            } ...
          }

          예) 쓸데없는 cast를 제거한 좋은 코드예

          for (int i=0; i<list.size(); i++)
          {
            String value = (String)list.get(i);
            if(value.indexOf('a') ! = -1) {
            } else if ((value.indexOf('b') != -1){
            } else if ((value.indexOf('c') != -1){
            } else if ((value.indexOf('d') != -1){
            } ...
          }

        ② 쓸데없이 동기화를 행하면 바람직하지 않음
        
            同期化(Synchronized)은 높은 cost입니다. 필요가 없을 시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요.


        ③ 쓸데없는 인스턴스생성은 바람직하지 않음

            인스턴스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많은 인스턴스를 생성
    하는 경우에는 performance를 현저히 저하 시키므로 주의하십시요.

            예) String 인스턴스를 2번생성한 바람직 하지 않은 코드예

              String value = new String("문자열");

            예) 개량 후 코드예

              String value = "문자열";


        ④ 필요이상으로 Wrapper클래스를 사용하면 바람직하지 않음

            Wrapper클래스(Integer, Boolean 등)을 클래스멤버로 사용하는 경우 인스턴스생성
    이 필요하게 되므로, 기본적으로 Primitive형을 사용하는 편이 performance를 높
    입니다.

            예) Wrapper클래스를 사용한 코드예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Integer id;
              private Boolean isValid;
            };

            예) primitive형으로 치환한 코드예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int id;
              private boolean isValid;
            };  

            또한 Wrapper클래스에는 없지만 java.math.BigDecimal 클래스는 Double 클래스
    보다 정확한 부동소수연산이 가능하지만 performance를 저하시키므로 유의바랍니
    다.

        ⑤ primitive형의 default값을 이용

    int 형 boolean형등의 primitive형은 선언시 default값이 초기화 됩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초기화처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 말하면 int형은 0, float은 0.0, boolean형은 false로 선언시에 초기화 됩니다.

            예) primitive형의 초기화처리를 행한 코드예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int id;
              private boolean isValid;

              public Person() {

                id = 0;
                isValid = false;
              }
            }

            예) primitive형의 default값을 이용한 코드예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int id;
                private boolean isValid;

                public Person() {

                }
              }


        ⑥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하는 방법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시에 각 Wrapper클래스(Integer,Double 등)의 static 메
    소드인 parseXXX()를 이용합니다.
            valueOf()를 경유해서 XXXValue()를 실행하면 한번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되어
    불필요한 cost를 들게 합니다.

            예) valueOf()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한 코드예

              double doubleValue = Double.valueOf("1234.56").doubleValue();
              int intValue = Integer.valueOf("123456").intValue();

            예) 개량한 코드예

              double doubleValue = Double.parseDouble("1234.56");
              int intValue = Integer.parseInt("123456");


        ⑦ 필요이상으로 System.gc()를 사용하면 바람직하지 않음
          
            필요이상으로 System.gc()를 이용하면 프로그램실행 performance가 저하됩니다.



      
      2. String 관련 Tips

        ① 문자열 연결방법
            +연산자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연결하게 되면 심하게 performance가 저하됩니다.
            StringBuffer클래스를 사용하면 performance가 향상됩니다.
        
            예) + 연산자에 의한 문자열연결 코드예

              String result = "";          
    for (int i=0; i<loopNum; i++ )  {
    result + =i;
              }
            예) StringBuffer클래스에 의한 문자열연결 코드예

              StringBuffer buf = new StringBuffer();
              for(int i=0; i<loopNum; i++) {
                buf.append(i);
              }
              String result = buf.toString();

            더욱이, 연결후의 문자열의 길이를 알고 있을 경우,  StringBuffer클래스 생성시에
    적당한 초기값을 주면 더욱더 performance가 향상됩니다.
            StringBuffer클래스는 용량이 부족하게 되면 내부적으로 버퍼사이즈가 자동으로 변
    경되나 연결후의 사이즈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초기값으로 사이즈를 주면 그러한
    처리과정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 StringBuffer buf = new StringBuffer(length);

           표) 문자열연결에 관한 performance 측정
                                                            
            연결수: 1000        연결수 : 500        
    +연산자        250(ms)        7500(ms)        
    StringBuffer        15(ms)        20(ms)        
    StringBuffer(초기값有)        2(ms)        10(ms)        
            CPU : Pentium 300MHz/ Memory :128M / OS : Linux/ J2SE:1.3.1
                                                    
        ② StringTokenizer클래스
          
    문자열을 자를 때,StringTokenizer클래스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기는 하지만 문자열
    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독자적인 Tokenizer를 사용하는것이 효율적입니다.

    StringTokenizer클래스가 token을 반복할때, 매번 자를문자가 변경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기 때문입니다.

           예) StringTokenizer클래스를 취하는 코드예

             String word = "aaa,bbb,ccc,ddd,eee,fff";

             StringTokenizer token = new StringTokenizer(word,",");

             List list = new ArrayList();
            
             while(token.hasMoreTokens()) {
               list.add(token.nextToken());
             }
            
           예) 자를문자를 ‘,’로 고정한후 token을 추출한 코드예

              String word = "aaa,bbb,ccc,ddd,eee,fff";
              
              List list = new ArrayList();

              int now=0;
              int next=0;

              while ( (next = word.indexOf(",",now)) > 0 )
              {
                list.add(word.substring(now,next));
                now = next + 1;
              }
            

            또한 StringTokenizer클래스에는 hasMoreElements()와 hasMoreTokens() 두개의
    메소드가 있는데,  hasMoreElements()가 내부적으로 hasMoreTokens()를 호출하
    므로 통상적으로 hasMoreTokens()를 이용 하도록 합니다.

            참고) J2SE 1.4부터 새로운 메소드가 추가된것이 있는데, SringTokenizer 클래스의
    token 추출과 같은 기능의 메소드로 java.lang.String 클래스의 split()메소드를 소
    개합니다.

              String word = "aaa,bbb,ccc,ddd,eee,fff";
              String [] result = word.split(",");
      
    3. Collection관련 Tips
        
        ① 배열의 이용
            
    데이타의 개수나 사이즈가 변동하는 경우에만 Collection계통의 클라스를 사용하며,
    그외에는 배열을 사용합니다.
          
        ② J2SE1.2이상에서의 Collection이용

    JDK1.1까지는 Vector클래스나 Hashtable클래스가 편리했으나, 이러한 클래스는 메소드가 동기화(synchronized)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동기화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비효율적입니다.
    J2SE1.2이상에서는 메소드가 동기화되어있지 않은 ArrayList클라스나 HashMap클
    래스를 이용합니다.
           Vector클래스는 ArrayList로 Hashtable은 HashMap클래스로 바꿔이용합니다.

            예) 구 Collection클래스 이용예
              
               Vector vector = new Vector();
               Hashtable table = new Hashtable();

            예) J2SE1.2이상 Collection클래스 이용예
              
               List list = new ArrayList();
               Map  map  = new HashMap();

            또한, J2SE1.2이상에서 Collection의 동기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List list = Collection.synchronizedList(new ArrayList(..));
            
            위와 같이 사용합니다.            
        
        ③ Collection size 초기화

    Collection을 default 사이즈로 만들면, 필요시 자동적으로 사이즈가 확장되나 명확히 예측이 가능한 경우에는 사이즈를 초기화 하는 편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예) 사이즈를 지정하지 않고 Collection을 생성한 코드예

              List list = new ArrayList();
              HashMap map = new HashMap();

            예) 사이즈를 지정한 Collection 생성 코드예
                
              List list = new ArrayList(num);
              HashMap map = new HashMap(num);


        ④ Iterator클래스보다 빠른 요소검사

           Collection 사이즈를 명확히 알 경우에는 Iterator클래스의 next()와 비교하여,
           Iterator클래스의 hasNext()에 의한 요소종료 체크가 필요없으며 내부처리가 간단한
           List클래스의 get()메소드를 추천합니다.

           예) Iterator클래스의  next()에 의한 요소조사

             Iterator iterator = array.iterator();
             while (iterator.hasNext())
             {
               Object object = iterator.next();
             }

           예) List클래스의 get()에 의한 요소조사

              int size =array.size();
              for (int i=0; i<size ; i++)
              {
                Object object = array.get(i);
              }
              
        ⑤ 요소삽입/삭제시 주의점

            List도중에 요소를 추가/삭제할 경우에 내부적으로 배열의 copy가 행해집니다.
    따라서 요소의 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copy하는 요소수도 많아져 결과적
    으로 performance의 저하를 초래합니다.
    내부적처리로써 [ (전체사이즈) - (삽입/삭제대상요소의 index)] 만큼의 요소가 copy되므로 아래의 예를 참조바랍니다.

            예) List의 맨앞에 요소를 추가/삭제하는 경우 --  속도가 느림.

             list.add(0, new Object());
             list.remove(0);

            예) List의 맨 뒤에 요소를 추가/삭제하는 경우 -- 속도가 빠름.

             list.add(new Object());
             list.remove(list.size() - 1);


        ⑥ List요소 전체삭제

    List 요소를 전체삭제 할때, 통상 쓰는 clear()을 이용하지말고, 새롭게 List를 생성(초기화)하는 편이 효율적입니다. 왜냐하면, clear()는 내부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배열의 전체요소에 null을 셋팅함으로써 전체삭제를 실현하기 때문입니다.

            예) clear()에 의한 요소 전체삭제

              List list = new ArrayList();
              
              for(int i=0; i< num; i++) {
                list.add(new Integer(i));
              }

              list.clear();

            예) List재작성에 의한 요소 전체삭제

              List list = new ArrayList();

              for(int i=0; i< num; i++) {
                list.add(new Integer(i));
              }

              list = new ArrayList();

        ⑦ 배열요소 copy방법
        
    루프를 돌며 배열요소를 하나씩 copy할 경우에는 System.arraycopy(Object src,int srcPos,Object dest,int destPos,int length)를 이용합니다.
            메소드의 인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src - the source array.
              srcPos - starting position in the source array.
              dest - the destination array.
              destPos - starting position in the destination data.
              length - the number of array elements to be copied.
            
            예) 루프를 돌며 배열소소를 copy하는 예

               int[] buf = new int[num];
               int[] copy = new int[num];

               for (int i=0; i<num; i++)
               {
                  copy[i] = buf[i];
               }
            
            예) System.arraycopy()에 의한 신속한 copy 예

               int[] buf = new int[num];
               int[] copy = new int[num];

               System.arraycopy(buf,0, copy,0, num);

         ⑧ List에 보존되어 있는 object 요소를 배열에 넣는 방법

    List클래스의 toArray()를 이용하여 List에 보존되어 있는 Object요소를 배열에 넣습니다.

              예) 루프에 의한 object요소 copy 예
                  
                int size = list.size();
                Integer[] result = new Integer[size];

                for (int i=0; i<size; i++)
                {
                  result[i] = (Integer) list.get(i);
                }

              예) toArray()에 의한 신속한 copy

                int size = list.size();
                Integer[] result = new Integer[size];

                list.toArray(result);





    4. IO관련 Tips

         ① 통상적으로 Stream계의 클래스를 사용함

            java.io패키지에서 문자데이터 입출력시에는 Reader/Writer 클래스를
            바이트단위 데이터 입출력시에는 InputStream/OutputStream 을 이용합니다.
            다만, 아스키캐릭터의 경우에는 1문자가 1바이트이므로
    InputStream/OutputStream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약 100K 정도의 영문자로 이루어져 있는 텍스트파일을 가지고 예를 들겠습니다.

            예) Reader계 클래스을 이용한 파일 입출력 예

                FileReader in = new FileReader("test.txt");
                int buf;

                while ( buf = in.read() != -1)
                {
                  .......
                }
                in.close();

            예) InputStream계 클래스를 이용한 파일 입출력 예

                FileInputStream in = new FileInputStream("test.txt");
                int buf;

                while ( buf = in.read() != -1)
                {
                  .......
                }

                in.close();

              위의 2가지 예를 비교한 performance 비교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클래스        처리시간(ms)        
    FileReader        18000        
    FileInputStream        800        
    CPU : Pentium 300MHz/ Memory :128M / OS : Linux/ J2SE:1.3.1

    InputStream계 클래스를 이용한 파일 입출력이 월등히 빠른 처리속도를 보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② Buffering을 이용

            예) Buffering을 한 Reader계 클래스을 이용한 파일 입출력 예

                FileReader in = new FileReader("test.txt");
                BufferedReader bin = new BufferedReader(in);
                int buf;

                while ( buf = bin.read() != -1)
                {
                  .......
                }

                bin.close();

            예) Buffering을 한 InputStream계 클래스를 이용한 파일 입출력 예

                FileInputStream in = new FileInputStream("test.txt");
                BufferedInputStream bin = new BufferedInputStream(in);
                int buf;

                while ( buf = bin.read() != -1)
                {
                  .......
                }
                bin.close();

    위의 2가지 예를 비교한 performance 비교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클래스        처리시간(ms)        
    BufferedReader        150        
    BufferedInutStream        80        
    CPU : Pentium 300MHz/ Memory :128M / OS : Linux/ J2SE:1.3.1


    - the end-

    'etc > o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od  (0) 2008.06.09
    JDOM을 이용하여 XML 읽기 / 생성하기 예제  (1) 2008.06.03
    東京 狐の嫁入  (0) 2008.06.03
    2008년 4월 신작 자막 제작자 정리표  (0) 2008.06.03
    InputStream, OutputStream 쓰자.. (파일 읽고 쓰기)  (0) 2008.06.02

     

    도쿄 여우비(東京 狐の嫁入) の あらすじ --> 東京が出で見ました。-_-;;

    7年前、女優(じょゆう)としての人生(じんせい)に炎症(えんしょう)を感じさせるスジン(수진)が東京(とうきょう)の撮影現場(さつえいげんば)で郊外(こうがい)寿司屋(すしや)(かく)れって入(はい)ってそこで(はたら)いているNewCommerヘンスウ(현수)って運命的(うんめいてき)(こい)をして(もど)ります。そして7年後...韓流(ハンりゅう)スタとして成功したスジンは狐の嫁入のように短(みじか)いが、永久(えいきゅう)に胸(むね)の中に初(はつこい)の人でったあの人、ヘンスウを探しに行ぐんですが...はたして、二人(ふたり)の再(さいかい)(じつげん)するか、美(うつく)しい都市(とし)東京の風景(ふうけい)とともに、かすかな昔(むかし)(こい)の思い出·(おもいで)4部作の感性メロドラマで繰り(くりひろげ)られる。

    參考(さんこう)

    NewCommer :

    1980年代末以降(いこう)、日本人と結婚した在日(ざいにち)人、日本人と結婚して、(あら)たに日本に定着(ていちゃく)した韓人のことを指()します。

     

    狐の嫁入り行列(きつねのよめいりぎょうれつ):

    新潟(にいがた)県東(けんとう)蒲原(かんばら)郡阿賀町津川地()(まいねん)53日に開催(かいさい)される祭(まつり)のことである。

    知らない 單語

    炎症(えんしょう) 염증                                   撮影現場(さつえいげんば) 촬영현장

    郊外(こうがい) 교외                                      寿(すし) 초밥

    (かく)れる 숨다                                         (ちく) 지구, 일정지역

    開催(かいさい) 개최                                      地名(ちめい) 지명

    (はつこい) 첫사랑                                   ()()して 과연

    都市(とし) 도시                                            (とも)に 함께

    思い出·(おもいで) 추억                                  (かす)かな 희미한

    繰りげる(くりひろげる) (책 등을) 펼치다, 벌리다, 전개하다

    以降(いこう) 이후                                         在日(ざいにち) 일본에 있음

    (あら)たに 새롭게                                      定着(ていちゃく) 정착

    ()す 가리키다, 지적하다

    質問

    1. (あい)(こい)何か違いますか。

    2. 參考で地名漢字をよむのが正しいですか。

    + Recent posts